제네릭(generic)은 자바 5부터 사용할 수 있다. 제네릭을 지원하기 전에는 컬렉션에서 객체를 꺼낼 때마다 형변환을 해야 했다. 그래서 누군가 실수로 엉뚱한 타입의 객체를 넣어두면 런타임에 형변환 오류가 나곤 했다. 반면, 제네릭을 사용하면 컬렉션이 담을 수 있는 타입을 컴파일러에 알려주게 된다. 그래서 컴파일러는 알아서 형변환 코드를 추가할 수 있게 되고, 엉뚱한 타입의 객체를 넣으려는 시도를 컴파일 과정에서 차단하여 더 안전하고 명확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준다. 꼭 컬렉션이 아니더라도 이러한 이점을 누릴 수 있으나, 코드가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따라온다. 이번 장에서는 제네릭의 이점을 최대로 살리고 단점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제네릭은 런타임에 타입 정보가 소거되므로 하나의 객체를 어떤 타입으로든 매개변수화 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려면 요청한 타입 매개변수에 맞게 매번 그 객체의 타입을 바꿔주는 정적 팩터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 패턴을 제네릭 싱글턴 팩터티라 하며, Collections.reverseOrder 같은 함수 객체나 Collections.emptySet 같은 컬렉션용으로 사용합니다.
이번에는 항등함수를 담은 클래스를 만들고 싶다고 해봅시다. 자바 라이브러리의 Function.idenify를 사용해도 되지만 직접 작성해 보겠습니다. 항등함수 객체는 상태가 없으니 요청할 때마다 새로 생성하는 것은 낭비입니다. 자바의 제네릭이 실체화된다면 항등함수를 타입별로 하나씩 만들어야 했겠지만, 소거 방식을 사용한 덕에 제네릭 싱글턴 하나면 충분합니다.
T가 어떤 타입이든 UnaryOperator<T>를 사용해도 type safe합니다.
상대적으로 드물긴 하지만 자기 자신이 들어간 표현식을 사용하여 타입 매개변수의 허용 범위를 한정할 수 있습니다. 바로 재귀적 타입 한정이라는 개념입니다. 주로 타입의 자연적 순서를 정하는 Comparable 인터페이스와 함께 쓰입니다.
1
2
3
publicinterfaceComparable<T>{intcompareTo(To);}
타입 매개변수 T는 Comparable<T>를 구현한 타입이 비교할 수 있는 원소의 타입을 정의합니다. 실제로 거의 모든 타입은 자신과 같은 타입의 원소와만 비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tring은 Comparable<String>을 구현하고 Integer는 Comparable<Integer>를 구현한 식입니다.